목록프로젝트/게임 판매 데이터 (2)
성장 일기 - AI

회사에 높은 수익을 가져다 줄 게임을 개발하려면 어떤 게임을 만들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게임 개발을 위해 나는 이 데이터에서 아래와 같은 4가지를 파악해 고려하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다. 1. 최근 인기있는 게임들의 장르 (과거에 큰 인기를 끈 장르라해도 최근 판매량이 저조한 장르라면 의미가 없다고 판단) 2. 판매량이 높은 게임들의 콘솔장비가 무엇인지 (퍼블리싱 기업 선택) (유저들이 많이 사용하는 콘솔장비에 맞춰 개발을 진행해야 한다 판단 / 퍼블리싱 기업 선택과 동일 ) 3. 지역별 판매량 파악 (판매량이 저조한 지역의 경우 데이터를 참고하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판단) 4. 지역별 선호하는 장르 파악 (특정 지역을 겨냥해 개발을 진행한다면 글로벌한 인기보단 해당 지역의 인기 장르에 맞..

※ 이번 프로젝트는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프로젝트입니다. ※ (사실 프로젝트라기보단 실습에 가깝다.) 아무래도 게임사에 입사하고 싶은 사람이다 보니 프로젝트 역시 게임과 관련있는 주제 혹은 데이터를 사용해서 진행하고 한다. 물론 나는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어느 정도 배운 상태이지만 부트캠프 과정에서 진행 했던 프로젝트를 다시 한 번 진행해보고 간단히 정리하고자 다시금 정말 기초에 기반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자 한다. 프로젝트 진행에 사용한 쥬피터 노트북은 github에 올려두었습니다. (https://github.com/JJeomMa/EDA-visualization) 💡데이터 수집 데이터의 경우 Kaggle에 게시된 데이터를 받아 사용했습니다. (https://www.kaggle.com/d..